본문 바로가기

🌱 레이나와 오늘도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요


안녕하세요. 저는 단단해지고 싶은 엄마, 단단한 레이나입니다.
이 블로그는 아이와 함께 자라는 엄마의 이야기,
그리고 일상 속 배움과 감정의 기록을 담고 있어요.

✔ 엄마표 학습
✔ 아이의 성장 에피소드
✔ 엄마의 정체성까지!

이 공간이 누군가의 느린 육아에 힘이 되는 이야기,
그리고 따뜻한 기록의 도서관이 되길 바랍니다.
늘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💕

레이나 시리즈/럭셔리 리포트

젠더리스 패션, 진짜 일상에 스며들었을까?

by 단단한 레이나 2025. 7. 19.

교육과 현실의 간극, 전공자의 시선으로 읽다
실루엣 중심 젠더 분석과 MZ세대의 문화 리얼리티

“젠더리스(genderless) 시대가 왔다.”
몇 년 전부터 들려온 외침이지만,
이제는 단순한 하나의 트렌드를 넘어
문화의 구조적 변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.

  • 주요 패션 플랫폼들은 남녀 구분 없는 운동화·부츠·우산을 출시하고 있고,
  • 특히 UGG 부츠의 남성 구매 비중은 38%, 니트 바라클라바도 남성 구매자의 약 26%를 차지할 만큼 확대되고 있습니다.

즉, 기능적 아이템을 중심으로
젠더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

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다를까?

패션디자인과 수업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
실루엣이 성별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임을 이해하는 것부터입니다.
과거에는 여성은 곡선, 남성은 직선이라는 고착적 분할이 존재했지만,
젠더리스는 이 경계를 의도적으로 무너뜨리는 실험입니다.

2000년대 초부터 앤드로지너스 룩이 존재했지만,
젠더리스는 단순한 유니섹스 스타일이 아니라,
개인의 취향과 자율성을 우선시하는 문화적 선언입니다.

 

성별의 경계가 모호한 앤드로지너스룩


최근 한국 이슈 & 기사 사례

🌟 ① 플랫폼과 브랜드 동향

  • 무신사·LF·삼성물산 등에서
    젠더리스 운동화, 우산, 액세서리 비중이 급증
  • 남성의 니트 바라클라바 구매 비중이 26%,
    레인부츠·양산 등의 남성 구매 비중도 20% 이상

🌟 ② MZ세대의 선택 변화

  • 핑크 트위드, 바라클라바, 화려한 아이템을
    남성 소비자들이 거리에서 자연스럽게 착용
  • 셀럽 스타일링이 실생활 소비로 연결되고 있음

전공자의 교육적 분석


교육 포인트 사례 의미
실루엣 중심 분석 재킷·슈트·부츠 등 공동 실루엣 성에 기반한 형태가 아닌 ‘모양 그 자체’ 중요
과거–현재 젠더 기준의 변화 앤드로지너스 → 문화적 선언 겉모습 너머 개인 정체성 존중
기능 vs 문화 소비 레인부츠 구매 패턴 변화 패션도 일상의 ‘생존 요구’에 응답
 

현실과 교과서 사이 – 여기까지 왔다

  • 교육론에서는 “젠더리스=실루엣으로 성을 해체”라고 배우지만,
    한국의 현실은 기능성과 문화가 뒤섞여 있습니다.
  • 즉, ‘남녀 구분 없는 아이템’이 실제로 판매되고 있다는 것 자체가
    교육이 현실에 도달하는 지표
    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

성별구분자체가 없는 젠더리스룩


전공자의 작은 결론

“젠더리스 패션은 이미 우리 곁에 있고,
우리 삶 속에서 ‘편하게’ 자리잡았습니다.”

이제는 디자인 교과서의 추상 개념이 아닌,
지하철에서, 카페에서, 거리에서
‘남성도, 여성도 아닌 나’라는 눈빛으로
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니까요.


📚 참고 기사 출처 모음

 

728x90